초보 개발자입니다.
학교에서도 선생님한테 배우는 게 더 정확하지만
또래 친구들이 알려주는 것이 정확하지는 않아도
더욱 추상적이고 쉬운 표현을 쓰기에 이해가 쉽게 되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저 또한 제가 이해한 느낌으로 표현하면서, 복습 효과까지 가져가려고 합니다.
다소 이상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항상 감사하는 마음으로 한번 더 배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급하신 분들은 맨 밑에 결론만 보고 가세요
여태까지는 HTML/ CSS/ JAVASCRIPT 등을 사용해서 웹페이지를 만들어갔는데
드디어 올게 왔다, 그건 바로 DataBase(DB) 사용이다.
학부생때 DB수업으로 ORACLE을 사용하여 쿼리를 날리고 정보를 확인해보았는데
그것이 쿼리 실행 도구로 DB Client 프로그램 이였나보다.
JDBC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유튜브로 공부를 해보았는데,
내가 이해한 추상적인 개념으로 정리를 해놓으려고 한다.

사용자들은 굳이 SQL 쿼리를 사용할 필요없다.
그냥 업무용 프로그램에서 버튼을 누르면 알아서
SQL으로 변환이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가져온다.

우리가 학부생때 사용한 DB Client 프로그램
DB에 접근하기 위해, 관리자인 DBMS에게 접근해야한다.
근데, 여기서 문제는 Oracle이던,
MY SQL이던 사용하려면 각각의 DBMS의
기능들을 다 알아야한다.
그건 힘드니 새로운 기술이 나왔다!
↓

자바가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 라는 기술을 이용해서
중간에 위치한 후 조금씩 다른 DBMS에 접근 할 수 있도록
단일화를 해준다.
그러기 위해선 -> JDBC가 필요하고, 각 회사의 JDBC Driver가 필요하다.

♣ 결론
- DB에 접근하기 위해선 관리자 격인 DBMS에 접근해야 하는데
- 회사마다 DBMS의 규격?이 다르기 때문에
- 이를 자바의 JDBC로 중간 위치에서 조율 해줌
출처 - 뉴렉처님 (youtu.be/c0s7g7iVtwc)
'DB&DB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초보의 관점] Postgresql, 'pgAdmin4/ SQL shell(psql)'을 통해 사용하기! (1) | 2020.06.09 |
|---|---|
| [초보의 관점] PostgreSQL을 사용하는 이유 와 설치까지! (0) | 2020.06.08 |